Skip to content

Latest commit

 

History

History
221 lines (134 loc) · 12.1 KB

CH05_책임과메시지.md

File metadata and controls

221 lines (134 loc) · 12.1 KB

CH 05 책임과 메시지

자율적인 책임

설계 품질을 좌지우지 하는 책임

  • 자율적인 객체스스로 의지와 판단에 따라 각자 맡은 책임을 수행하는 객체
    • 객체가 어떤 행동을 하는 유일한 이유는 다른 객체로 부터 요청을 수신했기 때문
    • 요청을 처리하기 위해서 객체가 수행하는 행동을 책임이라고 한다.

자신의 의지에 따라 증언할 수 있는 자유

  • 객체가 책임을 자율적으로 수행하기 위해서는 객체에게 할당되는 책임이 자율적이어야함
    • 상세한 수준의 책임은 자율적으로 책임을 수행할 수 없다.
    • 포괄적이고 추상적인 책임은 수행할 방법이나 절차에 대해서 최대한 자율성을 보장받을 수 있다.
    • 다양한 환경에서 재사용할 수 있도록 유연성 줌

너무 추상적인 책임

  • 포괄적이고 추상적인 책임은 무조건 좋은것이아님.
  • 책임은 협력에 참여하는 의도를 명확하게 설명할 수 있는 수준 안에서 추상적이여야한다.

'어떻게'가 아니라 '무엇'을

  • 자율적인 책임의 특징은 객체가 **'어떻게(how)'**해야 하는가가 아닌 **'무엇(what)'**을 해야하는가 설명한다는것이다.
    • 그래야 방법은 객체가 자율적으로 선택할 수 있음

메세지와 메서드

  • 하나의 객체는 메시지를 전송함으로써 다른 객체에 접근한다.
    • = 메시지를 수신할때만 어떤 행동을 시작한다.
  • 메시지를 수신 받은 객체는 자신이 해당 메시지를 처리할 수 있는지 확인
    • = 메시지를 처리할 수 있다는 이야기는 해당 메시지에 해당하는 행동을 수행해야할 책임이 있다는 것을 의미
    • 따라서 객체가 수신할 수 있는 메시지의 모양이 객체가 수행할 책임의 모양을 결정
  • 메시지를 수신했을때 처리하는 방법은 자유롭게 선택가능
    • 외부의 객체는 메시지에 관해서만 볼 수 있고 객체 내부는 볼 수 없기 때문에 자연스럽게 객체의 외부와 내부가 분리된다.

메서드

  • 메시지를 처리하기 위해 내부적으로 선택하는 방법메서드라고 한다.

    • 따라서 어떤 객체에 메시지를 전송하면 결과적으로 메시지에 대응하는 특정 메서드가 실행된다.
  • 메시지는 '어떻게' 수행될 것인지는 명시하지 않는다.

    • 단지 오퍼레이션을 통해 '무엇'이 실행되기를 바라는지 명시
    • 어떤 메서드를 선택할지는 전적으로 수신자의 결정
  • 객체지향 vs 절차지향

    • 객체지향 : 메시지를 수신한 객체가 실행시간에 메서드를 선택
    • 절차지향 : 프로시저 호출에 대한 실행코드를 컴파일 시간에 결정

다형성

  • 다형성이란 서로 다른 타입에 속하는 객체들이 동일한 메시지를 수신할 경우 서로 다른 메서드를 이용해 메시지를 처리할 수 있는 메커니즘을 가리킴

  • 서로 다른 객체들이 다형성을 만족시킨다는 것은 객체들이 동일한 책임을 공유한다는것

    • 송신자 관점에서 다형적인 수신자를 구별할 필요 없다. 메시지 송신자 관점에서 이 객체들은 동일한 책임을 수행하는것이다.

    • 다형성은 메시지 송신자의 관점에서 동일한 역할을 수행하는 다양한 타입의 객체와 협력할 수 있게함

  • 수신자의 구체적인 타입을 모르더라도 메시지 전송 할 수 있음

    • 다형성은 수신자의 종류를 캡슐화
    • 메시지를 수신할 수 있다면 어떤 누구든 상관없음
  • 다형성은 대체 가능성을 이용해 설계를 유연하고 재사용 가능하게 만듬

  • 다형성은 개별 객체가 아니라 객체들이 주고 받는 메시지에 초점을 맞출때 진가를 발휘

    • 메시지를 기반으로 다양한 타입의 객체들이 동일한 협력과정에 참여할 수 있기때문에 협력재사용 할 수 있다.

유연하고 확장 가능하고 재사용성이 높은 협력의 의미

  • 수신자에 대한 적은 정보로 협력 가능하다는 사실로 설계 품질 영향
    • 첫째, 협력이 유연해진다.
      • 송신자에 대한 파급효과 없이 유연하게 협력을 변경 가능 (다른 타입 객체 대체 가능)
    • 둘째, 협력이 수행되는 방식을 확장할 수 있다.
    • 셋째, 협력이 수행되는 방식을 재사용할 수 있다.

송신자와 수신자를 약하게 연결하는 메시지

  • 메시지는 송신자와 수신자 사이의 결합도를 낮춤으로써 설계를 유연하고, 확장 가능하고 ,재사용 가능하게 만듬
    • 송신자는 오직 메시지만 바라봄.
    • 수신자 정확한 타입 모름.
    • 수신자는 자율적으로 메서드를 선택하지만 메서드 자체는 송신자에게 노출 안함

메시지를 따라라

  • 클래스를 정의하는 것이 먼저가 아니라 객체들의 속성과 행위를 식별하는 것이 먼저다. (+협력이라는 문맥 고려)

    • 클래스는 속성과 행위를 담는 틀, 구현하기 위한 추상화도구 일뿐
    • 클래스를 중심에 두는 설계는 유연하지 못하고 확장 하기 어려움
  • 메시지가 아니라 데이터를 중심으로 객체를 설계하는 방식은 객체 내부 구조를 객체 정의의 일부로 만들기 객체 자율성을 저해

    • 내부구조는 감춰져야한다. 외부 객체가 마음대로 접근못함.
  • 훌륭한 객체지향 설계는 어떤 객체가 어떤 메세지를 전송할 수 있는가어떤 객체가 어떤 메시지를 이해할 수 있는가를 중심으로 객체 사이의 협력 관계를 구성하는것

    • 메시지가 객체를 선택해야 되는데 그러려면 메시지를 중심으로 협력을 설계해야

책임주도 설계

  • 책임 주도 설계 기본 아이디어는 객체들 간에 주고받는 메시지를 기반으로 적절한 역할과 책임, 협력을 발견하는것이다.

What/Who 사이클

  • What/Who 사이클이란?
    • 객체 사이의 협력관계를 설계하기 위해서는 먼저 '어떤 행위(what)'을 수행할 것인지를 결정한 후에 '누가(who)'그 행위를 수행할지 결정. 여기서 '어떤 행위'는 메시지다.
    • = 협력이라는 문맥 안에서 필요한 메시지를 먼저 결정한 후 메시지를 수신하기에 적합한 객체를 찾는다.
  • 객체가 어떤 메시지를 수신하고 처리할 수 있느냐가 객체의 책임을 결정
  • 메시지를 결정하기 전까지는 객체에 관해 고민 x

묻지말고 시켜라

  • 메시지 중심 설계는 메시지 수신자의 캡슐화를 증진 시킨다. (+ 느슨 결합)

    • 메시지를 결정하는 시점에서는 어떤 객체가 수신할지 알 수 없기 때문에 메시지 송신자는 메시지를 수신할 객체의 내부 상태를 볼 수 없다.
  • 묻지말고 시켜라란?

    • 객체는 다른 객체의 결정에 간섭하지 말아야 하며, 모든 객체는 자신의 상태를 기반으로 스스로 결정 내려야함 -> 자율성 보장
    • 객체는 다른 객체의 상태를 묻지 말아야한다.
    • 메시지가 어떻게 해야하는지를 지시하지 말고 '**무엇'**을 해야하는지를 요청

객체 인터페이스

  • 인터페이스 3가지 특징

    • 인터페이스의 사용법만 익히면 내부 구조나 동작 방식 몰라도 쉽게 대상을 조작하거나 의사를 전달할 수 있음
    • 인터페이스 자체는 변경하지 않고 단순히 내부 구성이나 작동방식 만을 변경하는 것은 인터페이스 사용자에게 어떤 영향도 미치지 않는다.
    • 대상이 변경되더라도 동일한 인터페이스를 제공하기만 하면 아무런 문제 없이 상호작용 할 수 있다.
  • 메시지가 인터페이스를 결정한다.

    • (인터페이스는 객체가 수신할 수 있는 메시지 목록으로 구성)

공용인터페이스

  • 인터 페이스 2가지 종류
    • 공용인터페이스 : 외부에서 접근 가능
    • 감춰진 인터페이스 : 내부에서 접근 가능함. 자기 스스로에게 요청하는 경우도 메시지 전송해야한다.

인터페이스와 구현의 분리

  • 객체 지향적인 사고 방식을 가지기 위한 인터페이스 3가지 원칙
    • 좀 더 추상적인 인터페이스
      • 구체적이지 않고 추상적인 메시지를 수신할 수 있는 인터페이스는 수신자의 자율성 보장가능
    • 최소 인터페이스
      • 외부에서 사용할 필요없는 인터페이스는 최대한 노출x
      • 그래야 객체 내부 수정하더라도 외부 미치는 영향 최소화
      • 협력에 필요한 메시지 이외 불필요한 메시지를 공용 인터페이스에 포함하지 않아도됨
    • 인터페이스와 구현 간에 차이가 있다는 점을 인식

구현

  • 구현 : 내부 구조와 작동 방식을 가리킴
    • 객체를 구성하지만 공용 인터페이스에 포함되지 않는 모든 것은 구현에 포함
    • 상태를 어떻게 표현 할것인가는 객체의 구현에 해당
    • 메서드를 구성하는 코드 자체는 객체 외부에 노출되는 공용 인터페이스의 일부는 아니기 때문에 객체의 구현 부분에 포함
  • 객체의 외부 내부를 분리하라는 말은 결국 객체의 공용 인터페이스와 구현을 명확하게 분리하라는 말과 동일

행동은 메시지를 수신했을 때만 실행되는 일종의 메시지 처리 방법이다. 이 처리 방법을 메서드라고함.

인터페이스와 구현의 분리원칙

  • 인터페이스 구현의 분리 원칙?
    • 객체를 설계할때 객체 외부에 공개되는 인터페이스와 객체의 내부에 숨겨지는 구현을 명확하게 분리해서 고려해야한다는것
  • 중요한 이유?
    • 소프트웨어의 지속적으로 변경
    • 자율성 향상됨
  • 송신자와 수신자가 구체적인 구현 부분이 아니라 느슨한 인터페이스에 대해서만 결합되도록 만든다.

캡슐화 (= 정보은닉)

  • 2가지 관점
    • 상태와 행위의 캡슐화
      • 객체는 상태와 행동을 하나의 단위로 묶는 자율적 실체
      • 외부에 접근해야만 하는 행위만 공용 인터페이스를 통해 노출 -> 캡슐화는 인터페이스 구현을 분리하는 전제조건이다.
    • 사적인 비밀의 캡슐화
      • 외부 객체가 자신의 내부 상태를 직접 제어할 수 없도록 외부에서 의사소통 할 수 있는 고정된경로인 공용 인터페이스만 노출.
        • 객체는 공용 인터페이스를 경계로 자율성 보장 가능

책임의 자율성이 협력의 품질을 결정한다.

  • 첫째, 자율적인 책임은 세부적인 사항들을 무시하고 의도를 드러내는 하나의 문장으로 표현함으로써 협력을 단순하고 이해하기 쉽게 만든다.
    • 책임이 적절하게 추상화 된다.
  • 둘째, 자율적인 책임은 객체의 외부와 내부를 명확하게 분리한다.
    • 책임만 완수하면 어떤방법을 선택할지는 객체 권한
    • 요청하는 객체가 몰라도 되는 사적인 부분이 객체 내부로 캡슐화되기 때문에 인터페이스와 구현이 분리된다.
  • 셋째, 책임이 자율적일 경우 책임을 수행하는 내부적인 방법을 변경하더라도 외부에 영향을 미치지 않는다.
    • 변경의 파급효과가 객체 내부로 캡슐화 되기 때문에 두 객체 간의 결합도가 낮아진다.
  • 넷째, 자율적인 책임은 협력의 대상을 다양하게 선택할 수 있는 유연성 제공
    • 설계가 유연해지고 재사용성이 높아진다.
  • 다섯째, 객체가 수행하는 책임들이 자율적일수록 객체의 역할을 이해하기 쉬워진다.
    • 책임이 자율적일수록 객체의 응집도를 높은 상태로 유지하기 쉬워진다.